만약 눈이 영혼의 창이라면, 불투명하고 관통할 수 없는 얼굴의 표면은 무엇인가?
파비안 고펠스로이더 박사 / 베를린자유대 철학과 의장, 취리히 예술대학 예술이론연구소
얼굴은 인간의 파사드이다. 얼굴의 불투명함은 내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내부를 외부로 표현한다. 투명성을 거부하고 숨겨진 표현을 가시화한다. 얼굴은 공과 사의 영역 사이에서 마치 국경 경비대처럼 작동한다. 국경 경비대가 통과시켜주는 것만 이 사람의 얼굴에서 드러난다. Per-sonare ('~를 통하여 말하다'라는 라틴어). 배우의 가면을 통하여 울려퍼지는 소리는 한 개인을 특별한 인간으로 나타낸다. 가면으로 인해 감춰진 것은 유사한 것끼리 편을 만드는 세상 속으로 소멸되지 않도록 한다. 얼굴은 인간의 가면이다. 이 가면 속에서 개인은 인간의 사적인 삶을 위협하는 요소에 노출되는 것으로부터 벗어난다. 또한 이 가면은 타인이 최초로 접근할 수 있는 위장의 장치이다. 불투명함(opacity)은 투명하지 않음(intransparency)이 아니다. 눈이 영혼의 창인 것처럼, 얼굴은 개인의 연약한 정신이 주변 환경의 요구에 따라 조율된 장소이다.
얼굴은 하나의 모델이다. 유사한 얼굴들은 공통적인 일반성을 띈다. 다양한 가족 사이에서 닮은 점을 찾아낼 수 있는 것처럼, 우리는 개인만의 유일한 얼굴을 인지할 수 있다. 파사드가 주변 환경에서 두드러지는 것처럼 각 개인의 파사드 또한 그렇다. 개인성이 무효화된 연기자의 표면은 전형적인 눈코입이 새겨진 가면이다. 이처럼 얼굴은 인간을 하나의 전형으로 만들어버린다. 사람은 그 자신과 닮은 무리에 속하지만 또한 그 무리에서 두드러져 보인다. 양면적이다. 각각의 얼굴은 야누스의 얼굴이다.
얼굴은 우리 삶의 지도책이다. 눈코입 안에 인간의 이야기를 기록한다. 경험된 것이 흔적으로 합쳐지는 장소이다. 시간이 얼굴에 밀착된다. 과거는 현재와 뒤섞인다. 지금이라는 순간 속에서만 기록적 가치를 획득하는 저장고이다. 살았고 살기를 지속한다. 기록하고 흐릿해진다. 과거와 현재 사이의 진동 속에서만 인간의 존재가 형성된다.
얼굴은 인간의 깊이를 쉽게 알아챌 수 없도록 방해하기 때문에, 얼굴은 또한 인류의 모든 측면들이 끝없는 교류 속에서 합체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사적, 공공, 일반성, 개인, 과거, 현재. 얼굴의 불투명성은 얼굴을 심연의 장소로 만든다.
이 불투명한 불가해성은 최찬숙의 작품에서 매혹의 정점을 이룬다.
Folgen der Spur(2005)는 얼굴이 지닌 아름다움이라는 차원의 무상함을 보여준다. 물 속에 누워있는 친구의 잉크 초상화에서 또렷했던 이목구비가 단계적으로 녹아내리는 과정의 표현은 인식에 대한 철학적인 비평이나 인생의 헛됨을 상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멜랑콜리한 장면은 정체성의 손식에 대한 애도를 내포하지 않는다. 대신 생명체에 새로운 요소들을 불러오기 위해 필요한 부식의 과정을 가리킨다. 단순한 사라짐이 아닌 변신. 새롭고 다른 것이 우리의 시각 범주에 부합하지 않을 때, 공격적인 부식의 과정에서 찾아볼 수 있는 멜랑콜리한 아름다움의 강도가 마지막이라는 것이 아니다. 대신 전이(Treansition)이다. 우리의 시야에서 벗어나도 인지할 수 있는 존재 안에서의 전이.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있지만 (0) | 2022.03.27 |
---|---|
가끔 집은 내가 되고 (0) | 2022.03.26 |
칵테일, 러브, 좀비 (0) | 2022.01.31 |
헬터 스켈터 (0) | 2022.01.31 |
어깨 너머의 연인 (0) | 2022.01.30 |